대부분의 채팅이나 커뮤니티 기능이 있는 웹사이트, 어플 등 온라인에서는 익명성 보장의 이유로 사기 등의 불미스러운 이슈가 쉽게 발생합니다.
요즘은 앱 시대니 미팅 계열의 어플에 모두 해당되겠죠.
심지어 여보* 같은 결혼 주제의 대형 어플에서도 탈북 여성인척 행세하며 브로커에게 빚이 있어 잡혀 있고, 보도 등의 일을 강제로 하고 있으며, 빚을 갚아주면 풀려날수 있다는 식으로 남성 회원의 동정심을 자극해 송금을 유도하는 사기를 하는 행위를 저는 회원으로서 이용중 확인하였습니다.
제가 직접 운영사측에 신고하였지만 아무런 답장이 없습니다.
아마 어플의 이미지에 타격을 받을까봐 문제점이 외부에 노출되는걸 꺼리는거 같습니다.
구독자님들의 피해 예방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사례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부디 주의하시어 피해를 보시는 일이 없으시길 당부 말씀 드리겠습니다.
< 만남을 빌미로한 사기 사례 총정리 >
1. 선불, 송금, 예약금 요구
사례 1> 선불 요구 후 카페나 극장에서 화장실 간다고 하고 도주
사례 2> 남성의 지역과 일부러 먼거리로 본인의 주거지를 얘기한 후 본인이 이동하겠다며 대신 차비 명목의 송금 요구후 잠수
사례 3> 급하게 언제까지 얼마가 필요해 만나기전 신분을 인증해주는 대신 송금을 요구후 잠수
사례 4> 만남을 약속한 후 약속 시간이 다가오는데 갑자기 본인이 외출하려면 알바하는 곳에 예약금을 송금을 해야 한다는 사기
☞ 만남을 빌미로한 선불(송금, 예약금) 요구는 100% 사기입니다.
2. 만남전 온라인 사전 미팅 빌미로 사진 전송이나 음성/영상 통화 요구하는 남성
사례 1> 목소리도 듣고 싶다며 통화 요구해 야한 얘기나 폰* 유도
사례 2> 영상으로 자세히 보길 원한다며 영상 통화 요구해 여러 모습 연출 요구, 영* 유도
☞ 해당 남성은 만남이 목적이 아니고 폰*, 영*이 목적임
☞ 사진/음성/영상은 모두 파일로 저장될수 있고 도용, 악용 및 협박의 빌미가 될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함
3. 만남후 미팅비만 받는 목적으로 활동하는 여성
사례 1> 첫 만남은 차한잔으로 하자는 그럴듯한 표현을 사용하여 첫 만남만 하는 여성
사례 2> 본인의 외모를 부각시키며 미팅비를 줘야 한다고 요구, 만남 후 얘기와는 전혀 다른 여성이 등장하여도 마음 약해 돈을 지급하는 남성의 심리를 이용
☞ 쉽고 안전하게 미팅비만 받는게 목적
4. 만남후 봉투를 지급하는 남성
사례 1> 헤어지기전 봉투를 건내받고 헤어진후 확인해보니 봉투에 종이만 여러장 담겨 있음
사례 2> 분명 봉투 안에 5만원권 확인하였는데 헤어진 후 다시 보니 종이만 여러장 담겨 있음(화장실 간 사이 남성이 미리 준비된 다른 봉투로 바꿔치기)
☞ 봉투로 정성을 담은지 알았더니 안보이게 위장하는 수단이었음
5. 본인의 신분까지 노출하며 안심시킨 후 여성을 농락
사례 1> 실제 본인의 신분이나 가게를 노출하며 여성을 안심 시킴
사례 2> 재벌 또는 준재벌 정도의 재력이 있다는 점을 과시(거짓 인증), 실제 본인의 신분을 노출하거나 거짓으로 회사 등을 속인 후 어떠한 이유로 먼저 어디에 송금을 해줄것을 요구
☞ 여성이 남성의 신분을 알아도 어딘가에 피해를 호소하기 힘들거라는 점을 악용
☞ 서로 잘 알지도 못하는데 너무 자세히 본인의 신분에 대해 꺼리낌 없이 얘기하는 남성 조심해야 함
6. 기타: 지갑 및 물품 절도 후 도주
7. 기타: 스마트폰메신저 대화 유도후 이런저런 빌미로 선입금 유도, 피싱, 영톡 빌미로 파일 전송 후 폰 해킹, 협박
"만나기전 충분한 대화를 해보세요!"
오랜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마음을 확인해 본다면 불미스러운 일들은 대부분 피해갈수 있을겁니다.
이성간의 만남은 물질적인 것보다 마음이 우선이 되야 관계가 오랫동안 지속될수 있습니다.
풍요속에 빈곤인가요?
많은 사람과 대화를 해보았지만 내 곁에 남아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네요.
온라인이라고 쉽게, 가볍게.
그렇게 대했던 본인의 문제가 아니었을까요?
결국 많은 사람중 자신에게 소중할수 있었던 사람을 스쳐지나가 버리는 악순환을 반복하지 마십시오.
댓글
댓글 쓰기